단독가구는 배우자나 부양가족이 없는 가구로, 근로장려금 수급액이 맞벌이나 홑벌이보다 낮지만 여전히 중요한 지원 대상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일부 소득 구간에서 지급액 감소율이 완화되어 중간 소득자의 체감 혜택이 커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단독가구 기준, 최대 지급액, 소득 구간별 예상 지급액을 표로 정리하고, 감액 규정과 정확한 지급액을 확인하는 방법까지 안내합니다.

 

 

 

단독가구 기준과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는 배우자, 부양자녀, 부양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를 말합니다. 2025년 기준 단독가구의 최대 지급액은 165만 원이며, 총소득 상한은 2,200만 원 미만입니다. 재산 합계가 1억 7천만 원 이상이면 산정액의 50%만 지급되고, 2억 4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재산에는 주택, 토지, 건물, 예금, 전세보증금 등이 포함되며,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

2025년 단독가구 금액대별 예상 지급액

총소득 구간(연) 예상 지급액 범위 설명
~ 800만 원 160만 ~ 165만 원 최대 지급액 구간, 대부분 최고액 지급
800만 ~ 1,200만 원 130만 ~ 160만 원 감소율 적용 전, 여전히 높은 수령 가능 구간
1,200만 ~ 1,600만 원 80만 ~ 130만 원 감소 구간 시작, 소득 증가에 따라 지급액 감소
1,600만 ~ 2,000만 원 30만 ~ 80만 원 상한선에 가까워질수록 지급액 크게 줄어듦
2,000만 ~ 2,200만 원 0원 ~ 30만 원 소득 상한 직전, 지급액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음

정확한 지급액 확인을 위한 팁

실제 지급액은 개인의 소득 구성, 재산 규모, 신청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한 후 신청 시 산정액의 5%가 감액되며, 세금 체납이 있을 경우 일부 금액이 공제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의 ‘근로장려금 미리보기’ 기능을 활용해 소득, 재산, 가구 정보를 입력하고 예상액을 직접 확인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