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 전기차 차종별 지원금 총정리
서울에서 전기차를 구입하려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바로 차종별 지원금 규모입니다. 문제는 지원금이 매년 달라지고, 한정된 예산으로 선착순 지급되기 때문에 제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수백만 원의 혜택을 놓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서울시 전기차 차종별 지원금 내역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각 차종별 특징과 주의사항을 함께 설명했습니다. 실제 구매를 고민하신다면 반드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승용차 차종별 지원금
승용차 전기차는 중·대형, 소형, 초소형으로 나뉘며, 국비와 시비를 합산하면 최대 630만 원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 가격이 5,300만 원 미만인 경우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고, 5,300만 원 이상 8,500만 원 미만 차량은 50%만 지원됩니다. 8,500만 원을 초과하는 고가 차량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차량 가격에 따라 체감 혜택이 크게 달라집니다. 초소형 승용차의 경우 최대 225만 원으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지만, 경차나 세컨드카로 활용하려는 소비자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인 금액입니다.
차종 | 국비 보조금 | 서울시 보조금 | 총 보조금 |
승용차 (중·대형) | 580만 원 | 50만 원 | 630만 원 |
승용차 (소형) | 530만 원 | 45만 원 | 575만 원 |
승용차 (초소형) | 200만 원 | 25만 원 | 225만 원 |
화물차 차종별 지원금
화물차 전기차 지원금은 승용차보다 훨씬 큰 규모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소형 특수 화물차는 국비 1,550만 원과 시비 440만 원을 합쳐 최대 1,99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일반 소형 화물차 역시 최대 1,350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형 화물차는 1,010만 원, 초소형 화물차는 530만 원 수준으로, 소규모 자영업자나 배달·운송 업계에서 전기차 전환을 고려하는 경우 매우 실질적인 혜택입니다. 다만 화물차 보조금은 예산 소진 속도가 빠르고, 신청 조건에 따라 제조사 할인 및 특수 조건이 붙을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차종 | 국비 보조금 | 서울시 보조금 | 총 보조금 |
화물차 (소형) | 1,050만 원 | 300만 원 | 1,350만 원 |
화물차 (소형 특수) | 1,550만 원 | 440만 원 | 1,990만 원 |
화물차 (경형) | 770만 원 | 240만 원 | 1,010만 원 |
화물차 (초소형) | 380만 원 | 150만 원 | 530만 원 |
승합차 차종별 지원금
승합차는 보조금 규모가 가장 큰 차량군입니다. 중형 승합차의 경우 국비 1억 원, 서울시 지원금 3천만 원을 합쳐 최대 1억 3천만 원까지 지원되며, 대형 승합차는 국비 1억 1,500만 원과 시비 3,500만 원으로 총 1억 5천만 원이라는 압도적인 규모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어린이 통학차량, 시내버스, 대형 법인 차량 등 공익적 성격이 강한 차량에 해당하는데, 실제 구매가 수억 원대에 달하는 만큼 지원금 규모도 클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보조금을 받으면 의무 운행 기간이 최소 5년 이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장기 보유가 가능한 사업자에게 적합합니다.
차종 | 국비 보조금 | 서울시 보조금 | 총 보조금 |
승합차 (중형) | 1억 원 | 3천만 원 | 1억 3천만 원 |
승합차 (대형) | 1억 1,500만 원 | 3,500만 원 | 1억 5천만 원 |
추가 혜택과 유의사항
서울시 전기차 지원금은 국비와 시비를 합산한 금액으로 지급되며, 기본적으로 차량 가격의 7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또한 지원금은 선착순 예산 소진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연초에 신청이 몰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구매 계획이 있다면 서둘러야 합니다. 승용차와 승합차는 지원금을 받은 후 2년간, 화물차는 5년간 재지원이 제한되며, 중도 매각이나 의무 운행 기간 위반 시 지원금 환수 조치가 있습니다.
또한 다자녀 가구, 차상위 계층, 청년(만 19~34세), 첫 차 구매자 등은 국비 지원금의 20%를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화물차의 경우에는 택배용 특수형 차량이거나 제조사 추가 할인이 있는 경우, 더 많은 금액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차량 가격만 비교할 것이 아니라 본인이 속한 가구 조건이나 직업적 특성까지 반영해 보조금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